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주제 69] 출판사의 글로벌 확장 전략: 국내 vs 해외

연구를 담다/출판

by 다담출판사 2025. 4. 13. 14:20

본문

728x90

출판사의 글로벌 확장 전략: 국내 vs 해외

📘 주제 69: 출판사의 글로벌 확장 전략 – 국내 vs 해외

1. 서론: 콘텐츠의 국경을 넘는 시대, 출판도 글로벌로

K-콘텐츠의 세계적 흥행 속에서 한국 출판사들도 더 이상 내수 시장에만 의존할 수 없다. 디지털 플랫폼, 번역 기술, 한류 문화 수요 등을 기반으로, 콘텐츠를 전 세계로 유통하는 구조는 출판사의 새로운 성장 전략이 되고 있다. 본 보고서는 국내 기반 출판사들이 글로벌 확장을 추진하는 데 필요한 구조와 전략을 국내 vs 해외 시장 비교를 중심으로 정리한다.


2. 글로벌 출판 확장의 필요성

요인설명
국내 시장 포화 출간량 대비 독자 구매력 정체, 독서 인구 감소
콘텐츠 수출 기회 확대 K-드라마, K-웹툰 → 원작 콘텐츠 수요 증가
다언어 수요 증가 글로벌 교육시장, 이민자 독서시장 등 타깃 확장 가능
해외 유통망 디지털화 Amazon KDP, Google Books 등 플랫폼 기반 유통 가능성 확대

3. 국내 중심 전략 구조

전략 요소실행 방식
한류 타깃 콘텐츠 기획 K-브랜드, 한국 문화, 역사, 음식 중심 콘텐츠
번역 + 해외 리셀러 제휴 영어/중국어/일본어 번역 + 현지 출판사 연결
국내 SNS 마케팅 강화 해외 유입 가능한 인스타그램/유튜브 기반 콘텐츠 확산

4. 해외 시장 중심 전략 구조

전략 요소실행 방식
현지화 콘텐츠 기획 로컬 감성·이슈에 맞춘 기획 (예: 이민자, 교육 이슈 등)
현지 법인/파트너사 운영 번역, 디자인, 유통 현지 인력 기반 내재화
글로벌 플랫폼 직접 입점 Amazon KDP, Apple Books, Kobo Books 등 활용

5. 국내 사례 비교

📌 미디어창비

  • 『소년이 온다』 일본·유럽 번역 출간
  • 정치·역사적 서사로 글로벌 독립문학 시장 진출

📌 위즈덤하우스

  •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일본, 대만, 프랑스 등 다국어 번역 + 영상화 기획 연계

📌 리디북스

  • 웹소설 기반 콘텐츠 → 일본·북미 플랫폼 연재 후 종이책/오디오북 판매

6. 해외 출판사 글로벌 전략 사례

📌 Scholastic (미국)

  • 영어권 국가 외, 현지 파트너사 통해 35개 언어 번역 출간
  • 현지 교육기관과 직접 유통 제휴

📌 Kodansha (일본)

  • 자사 플랫폼 운영 + 영어권 자회사 설립
  • 현지 오리지널 콘텐츠도 기획해 수입·수출 병행

7. 전략적 비교 요약

구분국내 중심해외 중심
기획 방향 한국적 정체성 강조 현지 니즈 반영 강조
유통 구조 국내-해외 서점/리셀러 연계 글로벌 플랫폼/법인 운영 중심
번역 전략 직역 중심 창조적 번안 및 편집 재기획
조직 구조 한국 본사 중심 현지 파트너 및 지사 병행

8. 번역/편집 전략

  • 번역가+편집자+기획자 3자 팀 구성
  • 현지 감수자 도입 → 문화적 감수성 보완
  • 표지/제목/형식은 현지 스타일로 재설계 권장

9. 유통·마케팅 전략

전략채널
북페어 참가 프랑크푸르트도서전, 런던북페어 등 B2B 계약 기회
글로벌 SNS 운영 영어·스페인어 기반 채널 운영 필요
온라인 리뷰/클리핑 확보 Goodreads, Amazon 리뷰 기반 팬 확산

10. 결론: 글로벌 전략은 단지 번역이 아니라 ‘현지화된 브랜드화’다

성공적인 출판사의 글로벌 확장은 단순히 책을 번역해 파는 것이 아니라, 각국의 독자와 정서적 언어로 소통하고, 콘텐츠를 문화적으로 재설계하는 브랜드 전략이다. 퍼블리셔는 기획, 협업, 유통, 플랫폼 전반에 걸친 글로벌 감수성과 실행 역량을 갖춰야 한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